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영,노후,직장

경제_상식_필립스 곡선_인플레이션_실업률

by 행복한 빠라나시 2024. 10. 31.

필립스 곡선이란?

필립스 곡선은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사이에 상반된 관계가 있다고 설명하는 경제 이론이야.

쉽게 말해, 한쪽이 올라가면 다른 쪽이 내려간다는 거야. 이를 통해 경제에서는 "어느 정도 실업률이 있으면 물가가 안정될 수 있고, 실업률이 낮아지면 물가가 올라간다"는 식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수 있어.

파티의 분위기와 인플레이션

생각해봐, 파티가 정말 신나게 달아오르면 사람들은 흥분해서 춤을 더 열심히 추고, 음료를 더 많이 마시게 되지.

이렇게 신나는 분위기는 마치 인플레이션이 올라가는 상황과 같아.

경제에서도 사람들이 돈을 많이 쓰면 물건의 가격이 올라가면서 인플레이션이 오르거든.

DJ와 실업률

이제 파티의 흥을 돋우려는 DJ가 볼륨을 높이면 사람들이 더 많이 춤을 추고 더 신나게 움직일 거야.

하지만 너무 많은 사람이 댄스 플로어에서 열광하면 실수로 부딪히거나 넘어질 수도 있어.

실업률이 아주 낮은 경제 상황도 마찬가지야.

사람들이 다 취업해서 바쁘게 일하면 일손이 부족해져서 사람들을 끌어오기 위해 임금을 높여야 하고, 결국 물가가 오르게 되는 거야.

볼륨과 인플레이션 조절

DJ가 너무 흥을 돋우지 않으려 볼륨을 조금 낮추면, 댄스 플로어가 너무 붐비지 않고 적당히 여유가 생기겠지.

마찬가지로 경제에서 실업률이 약간 높아지면 물가도 안정돼서 인플레이션을 낮출 수 있어.

요약하자면

필립스 곡선은 "DJ가 파티 분위기(인플레이션)와 댄스 플로어의 여유(실업률)를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 것"처럼 경제에서 물가와 실업률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거야.

어렵다 어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