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영,노후,직장39

S&P500, 6개월 운영 결과(24년 6월~12월) 모두들 S&P 500에 대한 이야기를 하길래, 나도 한번 꾸준히 매수를 해보고 있다.급여일에 맞춰서, 50만원씩 자동이체 및 자동 매수를 하고 있고, 그렇게 6개월을 운영해 보았다.수익율을 보았을때...9.17% 정도되는것 같다.앞으로 5년간 꾸준히 매수를 진행할 예정이다.(매월 50만원씩~)3천만원 정도 투자가 될것 같고....매년 기대 수익을 9%라고 했을때첫해 투자: 6,000,000×(1.092)5=6,000,000×1.5386=9,231,6006두 번째 해: 6,000,000×(1.092)4=6,000,000×1.4102=8,461,200세 번째 해: 6,000,000×(1.092)3=6,000,000×1.2915=7,749,000네 번째 해: 6,000,000×(1.092)2=6,000,000.. 2025. 1. 2.
넛지 이론(Nudge Theory)란? 주목 받았던? 아니 받고 있는? 내가 제일 관심있어하는 경제학 이론 중 하나는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에서 발전된 "Nudge Theory(넛지 이론)"야. 이 이론은 사람들이 경제적 또는 일상적 결정을 내리는 방식에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이를 활용해 사람들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넛지 이론(Nudge Theory)란?**넛지(nudge)**는 "옆구리를 슬쩍 찌르다"라는 뜻처럼, 강요하지 않고 부드럽게 사람들의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을 말해.사람들은 종종 완벽히 이성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데, 넛지 이론은 이러한 비합리성을 이해하고, 이를 더 나은 선택으로 연결시켜.핵심 개념자유 의지 존중:넛지는 사람.. 2025. 1. 1.
경제학_거미집 이론 거미집 이론(Cobweb Theory)은 시장에서 가격과 공급량이 시간차로 인해 불안정하게 변동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경제학 이론이야. 이름처럼 거미줄 모양의 패턴으로 가격과 공급량이 변한다는 점에서 붙여진 이름이지.거미집 이론기본 상황:농부들이 시장에서 옥수수를 팔고 있어.옥수수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고, 농부들은 작년의 옥수수 가격을 기준으로 올해 얼마나 심을지 결정해.1. 첫해: 가격 상승첫해에는 옥수수 공급이 부족했어.옥수수 가격이 높게 형성됐고, 농부들은 이걸 보고 돈을 벌 기회라고 생각해.예: "작년에 옥수수 가격이 높았으니, 올해 더 많이 심어야지!"2. 두 번째 해: 공급 과잉농부들이 작년에 비해 옥수수를 많이 심었어.그래서 옥수수가 시장에 넘쳐나고, 가격이 크게 하락했어.예: .. 2025. 1. 1.
한계 비용 체감 법칙 (Law of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한계비용 체감의 법칙을 재고 관리와 연결하면, 재고를 더 많이 쌓을수록 관리나 운영 효율이 점점 떨어진다는 걸로 이해할 수 있어. 1. 재고와 비용처음에 재고를 확보하면, 생산이나 판매에 큰 도움이 돼.예를 들어, 부족한 재고를 채우면 고객의 주문을 더 잘 처리할 수 있지.하지만 재고를 계속 쌓다 보면,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재고가 더 이상 큰 이익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비용만 늘어나게 돼.2. 재고와 한계비용 체감의 사례예: 창고에 물건을 쌓는 경우초기 상황: 재고를 늘리면 유리하다!처음 몇 개의 물건을 창고에 쌓으면, 물건이 부족할 걱정이 줄어들고 고객의 주문을 즉시 처리할 수 있어.→ 비용 대비 효과가 높아.중간 단계: 조금씩 효과가 줄어든다.재고가 충분히 많아지면, 추가로 쌓는 재고는 "안전망" .. 2024. 12. 31.
경제학_코즈정리 코즈 정리 (Coase Theorem)의미: 외부효과(공해 등)가 존재하더라도 협상 비용이 없다면, 당사자 간의 협상으로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다는 이론.예시: 공장과 주민이 협상해 공장 측이 주민에게 보상금을 지급하면 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코즈 정리의 핵심 아이디어외부효과란?한 사람이나 기업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야.예를 들어:공장이 연기를 뿜어서 주변 주민이 피해를 보는 것.누군가가 큰 음악을 틀어서 이웃이 시끄럽게 느끼는 것.정부가 개입하지 않아도 된다?코즈 정리는 말하길, 정부가 꼭 개입하지 않아도, 당사자끼리 잘 협상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해.대신 협상 비용(서로 만나서 이야기하거나, 법적 계약을 맺는 데 드는 비용)이 적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어.. 2024. 12. 31.
경제학_게임이론 게임이론은 사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황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를 분석하는 이론이야. 쉽게 말해서, 다른 사람이 어떻게 행동할지 예측하면서 최선의 선택을 하는 방법을 찾는 거지. "죄수의 딜레마"상황:경찰이 두 명의 공범자(죄수 A와 죄수 B)를 체포했어. 둘을 따로 방에 가둬놓고 이렇게 제안했어:둘 다 서로를 배신하지 않고 입을 다물면: 둘 다 가벼운 형량(1년)만 받는다.둘 중 한 명만 배신하면: 배신한 사람은 자유를 얻고, 배신당한 사람은 10년형을 받는다.둘 다 서로를 배신하면: 둘 다 5년형을 받는다.선택의 문제:둘이 서로 믿으면 둘 다 1년만 감옥에 있어.하지만 A는 "B가 날 배신할 수도 있잖아. 그러면 내가 10년형을 받을 수도 있어!"라고 생각해.동시에 B도 "A가 날 배신하면 나만.. 2024.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