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즈 정리 (Coase Theorem)
의미: 외부효과(공해 등)가 존재하더라도 협상 비용이 없다면, 당사자 간의 협상으로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다는 이론.
예시: 공장과 주민이 협상해 공장 측이 주민에게 보상금을 지급하면 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코즈 정리의 핵심 아이디어
외부효과란?
한 사람이나 기업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야.
예를 들어:
공장이 연기를 뿜어서 주변 주민이 피해를 보는 것.
누군가가 큰 음악을 틀어서 이웃이 시끄럽게 느끼는 것.
정부가 개입하지 않아도 된다?
코즈 정리는 말하길, 정부가 꼭 개입하지 않아도, 당사자끼리 잘 협상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해.
대신 협상 비용(서로 만나서 이야기하거나, 법적 계약을 맺는 데 드는 비용)이 적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
어떻게 해결되나?
피해를 입은 사람과 피해를 준 사람이 협상해서 둘 다 만족할 수 있는 합의를 찾는 거야.
중요한 건, 누가 잘못했는지가 아니라, 서로 이익이 되는 해결책을 찾는 게 핵심이야.
공장과 주민
상황:
어떤 공장이 주변 주민들에게 연기로 피해를 주고 있어.
주민들은 공장 때문에 건강이 나빠지고, 삶의 질이 떨어졌어.
코즈 정리에 따른 해결 방법:
협상:
주민들은 공장 주인과 협상해.
"우리가 연기로 피해를 보고 있으니, 공장에 연기 필터를 설치해주세요!"
공장 주인은 필터 설치가 비용이 많이 드는지 계산해.
결과:
만약 공장이 필터 설치 비용보다 주민들에게 보상금을 주는 게 더 싸다면:
공장이 보상금을 주고 계속 연기를 뿜는다.
만약 필터를 설치하는 게 더 싸다면:
공장이 필터를 설치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핵심:
누가 이 문제의 책임자인지 논쟁하는 게 아니라,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거야.
코즈 정리의 조건
코즈 정리가 잘 작동하려면 몇 가지 조건이 있어:
협상 비용이 낮아야 해:
당사자끼리 협상하는 게 너무 어렵거나 복잡하면 효과가 없어.
예를 들어, 공장의 연기로 피해를 보는 사람이 1명이 아니라 1000명이라면 협상이 어렵겠지?
소유권이 명확해야 해:
누가 무엇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가 명확해야 해.
예를 들어, 공장이 "우리가 연기를 뿜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면, 주민들이 협상할 동기를 잃을 수 있어.
시끄러운 음악
상황:
이웃이 밤에 큰 음악을 틀어서 너가 잠을 못 자.
코즈 정리의 해결:
너가 이웃에게 가서 협상해:
"음악 좀 줄여줄래? 내가 매달 10달러를 줄게."
이웃은 "알겠어, 그 정도면 내가 음악을 줄일 수 있지."
반대로, 이웃이 너한테 제안할 수도 있어:
"내가 음악을 줄이기 싫은데, 네가 나한테 20달러를 준다면 끄지."
코즈 정리의 교훈
정부의 개입 없이도 당사자끼리 협상을 통해 외부효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중요한 건 책임을 따지는 게 아니라, 효율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이야.
코즈 정리는 현실에서 협상과 경제적 효율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아이디어인데....이걸 코즈정리라는 거창한 말로 정리할 필요가 있을까 싶어...당연한거 아닌가? 코즈 정리가 아닌 코드 정리로 이해하고 싶다^^
'경제,경영,노후,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_거미집 이론 (1) | 2025.01.01 |
---|---|
한계 비용 체감 법칙 (Law of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0) | 2024.12.31 |
경제학_게임이론 (1) | 2024.12.31 |
리플 향후 전망~ (3) | 2024.12.31 |
리플 향후 전망~ (1)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