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행복

대화의 기술~

by 행복한 빠라나시 2024. 12. 30.

"대화의 기술(세대를 뛰어넘어)"

 
 

많은 대화가 사실 "말하기"와 "듣는 척"의 반복일 때가 많지. 그래서 진정한 대화를 하기 위해선 몇가지...기억해야 할 것들이 있어...


1. 진짜로 "듣기"

설명: 단순히 침묵하며 기다리는 게 아니라, 상대방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게 중요해.

실천 방법:

적극적 경청: 상대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거나, "음, 그렇구나" 같은 반응을 보이기.

상대의 말을 반복하거나 요약:

"아, 그러니까 네가 말하는 건, 이런 상황에서 힘들었다는 거지?"

감정에 공감하기:

"그거 진짜 속상했겠다."


2. "질문"으로 대화 깊이 더하기

설명: 질문은 대화를 깊게 만들고, 상대가 더 많이 말하도록 유도해.

실천 방법:

열린 질문 사용하기:

"그땐 어떤 기분이었어?"

"이 상황에서 너는 어떻게 하고 싶었어?"

상대방의 말에 꼬리 질문 달기:

상대: "요즘 회사 일이 힘들어."

너: "어떤 점이 가장 힘들어?"


3. "공감"을 말로 표현하기

설명: 공감은 대화의 신뢰를 높이고, 상대가 더 많은 이야기를 하게 만들어.

실천 방법:

상대의 감정을 인정하기:

"너 진짜 많이 참았구나."

"네가 그렇게 느끼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해."

경험을 공유하기:

"나도 예전에 비슷한 일을 겪었어. 그래서 네 마음이 조금은 이해가 돼."


4. "이야기의 주인공"은 상대방

설명: 대화를 주도하려고 하기보다는, 상대방이 주인공이 되게 만들어.(사실이게 제일 중요한것 같다)

실천 방법:

상대가 말할 때 끼어들지 않기.

상대가 끝까지 이야기하도록 기다리기.

상대의 의견에 진지하게 반응하기:

"와, 그런 생각은 진짜 못 해봤어. 대단하다."


5. 자기 이야기 할 땐 짧고 간결하게

설명: 자기 이야기만 길게 하면 대화의 흐름이 깨져.

실천 방법:

상대가 이야기를 끝내면, 자신의 생각을 짧게 말하기:

"나는 이런 비슷한 경험이 있는데, 네 말 들으니까 나도 다시 생각하게 됐어."

대화를 상대에게 다시 넘기기:

"근데 너는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하고 싶어?"


6. 침묵의 힘을 활용하기

설명: 때로는 말하지 않는 게 대화를 풍부하게 만들어.

실천 방법:

상대가 잠시 멈췄을 때, 조용히 기다리기.

침묵이 길어지면 "혹시 더 하고 싶은 얘기 있어?" 같은 질문으로 부드럽게 이어가기.


7. 비언어적 표현 활용하기

설명: 표정, 몸짓, 톤은 대화의 분위기를 결정해.

실천 방법:

미소: 상대가 마음을 열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미소 짓기.

눈맞춤: 너무 부담스럽지 않은 선에서 적당한 눈맞춤.

톤 조절: 상대의 감정에 맞춰 목소리 톤을 부드럽게 조절하기.


8. 상대의 가치와 관점을 존중하기

설명: 대화 중에 논쟁하거나 상대를 깎아내리면 관계가 틀어질 수 있어.

실천 방법:

상대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비난하지 않기: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네."

다른 관점 제시하기:

"내가 보기엔 조금 다를 수도 있는데, 네 말도 충분히 이해돼."


9. 대화의 목적을 잊지 않기

설명: 대화가 단순한 잡담인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인지 명확히 해야 해.

실천 방법:

가벼운 대화: "오늘 기분이 어때?"

진지한 대화: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할까?"


요약:

대화를 잘 이끌어가기 위해선 듣기, 공감, 질문, 배려가 핵심이야. 상대를 "존중받는 사람"으로 느끼게 하고, 말할 때 내가 주인공이 되려고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해. 이렇게 하면 대화는 더 깊고 의미 있어질 수 있다. 하지만 실천이 어렵지~~^^

'일상,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용한 책방  (2) 2024.12.31
2025년 황금 휴일~10월  (1) 2024.12.31
민주주의의 비명, The Cry of Democracy  (1) 2024.12.08
명함 뒤에 숨겨진 나  (4) 2024.11.19
욱하는 마음 다스리기~  (3) 2024.10.20